1. A B C — 자학적 냉소주의자
-
특성: 자기에 대한 부정적 감정(열등감), 타인에 대한 조롱, 사회에 대한 공격성
-
심리학적 해석: 방어기제로서 외부를 비난함으로써 자아의 불안정함을 보상. 분노의 투사.
-
사회적 특성: 인터넷 커뮤니티의 냉소적 우파/자조적인 비관론자. '헬조선론자'에 가까움.
-
유형 사례: 루저 내러티브를 소비하면서도 정치 혐오, 사회 냉소, 타인 비하에 적극적인 온라인 유저
2. A B c — 자학적 개인주의자
-
특성: 자기에 대한 부정, 타인에 대한 비난, 사회에는 무관심
-
심리학적 해석: 외부 세계에 대한 불신과 회피. 대인관계에서의 방어적 태도.
-
사회적 특성: 사회적 고립과 냉소의 혼합. '나는 망했지만 니들도 별 거 아냐.'
-
유형 사례: 커뮤니티에서 흔히 보이는 “내 인생은 망했지만, 너도 다를 바 없어”류의 체념형 비난러
3. A b C — 비관적 관찰자
-
특성: 자기에 대한 부정, 타인에 대해 무관심, 사회 비판적
-
심리학적 해석: 무력감에서 비롯된 이상주의. 사회 변화 욕망은 있으나 행동력 부족.
-
사회적 특성: '관찰자적 진보' — 시사에 밝지만 실천에는 나서지 않는 회의주의자.
-
유형 사례: 정치는 알아도 '투표해도 안 바뀌어'라는 체념과 허무를 지닌 냉소적 지식인
4. A b c — 무력한 회피형
-
특성: 자기에 대한 비하, 타인과 사회에 대한 무관심
-
심리학적 해석: 우울 성향, 회피성 성격장애와 유사한 특성
-
사회적 특성: 현실 도피, 니힐리즘적 성격. 대중문화 소비에만 몰입
-
유형 사례: 은둔형 외톨이, 히키코모리, 취업 포기자(니트족)
5. a B C — 공격적 자기중심자
-
특성: 자기애와 자아도취, 타인과 사회에 대한 비판
-
심리학적 해석: 나르시시즘 + 반사회적 경향. 자기를 이상화하며 세상을 비난
-
사회적 특성: 트롤링적 성격, 선민의식, 사이코패스적 경향
-
유형 사례: 교조적 엘리트주의자, 극단적 이념가, 무례한 논객
6. a B c — 자기애적 냉담자
-
특성: 자기애가 강하고, 타인을 비난하지만 사회엔 관심 없음
-
심리학적 해석: 자기중심적 성격장애, 외부에 대한 공감 결여
-
사회적 특성: 실용주의적이고 쿨병 든 스타일. 반사회적 개성주의자
-
유형 사례: “내가 잘나서 성공했지, 사회 탓 하지 마”식의 자수성가 신화에 몰입한 인물
7. a b C — 유토피아적 자기애자
-
특성: 자아도취, 타인에게 관용, 사회 비판적
-
심리학적 해석: 이상주의적 자기애. “내가 옳고, 사회는 틀렸다”
-
사회적 특성: 도덕적 우월감이 강한 진보주의자, 활동가 기질
-
유형 사례: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(SJW), 자기계발 + 사회 개혁에 관심 많은 청년 활동가
8. a b c — 긍정적 자기중심자
-
특성: 자기애와 자존감이 높고, 타인과 사회에 관심이 없음
-
심리학적 해석: 건강한 자기애일 수도 있으나, 현실 회피와 독단으로 이어질 위험 있음
-
사회적 특성: 마이웨이형 개인주의자. 타인과 세상보다 자기 인생에만 집중
-
유형 사례: 디지털 노마드, '욜로족', 스타트업 파운더형 자기확신가
그렇다고 함.